우리의 종교

127 다음에는수부하나까기도문을암송합니다.아우두비스밀라의 문장도 암송한 뒤에 수라 알 파띠하를 암송합니다. 이 장의 끝부분에서“아민”하고말합니다. 이장을암송한다음짧은 장(수라)이나 이와 같은 분량의 구절(아야)을 암송합니다. 그런 다음 양 팔을 옆으로 내리고 알라후 아끄바르를 말하면서 반절(알 루꾸)을 합니다. 반절을 하면서 남자는 손가락을 편 채로 손으로 무릎을 잡고 머리와 허리와 엉덩이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합니다. (사진-5) 여자는 남자만큼 낮게 굽히지 않습니다.(사진-6) 반절을 한 상태에서 “수브하나 랍비얄 아짐 (가장 위대하신 저의주님께영광이있으소서)”하고알라께찬미를최소한세 번은 드립니다. 이 자세에서 눈은 발끝을 바라보아야 하는데 머리를 너무 숙이지 않고 등과 평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머리를 들고 편안하게 일어나면서 “사미알라후 리만 하미다(알라께서는 자신을 찬미하는 자를 들으신다)”와 “랍바나 라깔 함드(주님 당신께만 모든 찬미를 드립니다)” 를 암송합니다. 다음에 무릎을 굽히면서 알라후 아끄바르 말하고 엎드려 절하는 자세(알 사즈다)를 취합니다. 절을 할 때 무릎이 먼저 바닥에 닿게 하고 양손과 다음에 양손 사이에 얼굴을 두고 손바닥은 바닥에 댑니다. 이 자세에서 이마와 코는 바닥의 딱딱함이 느껴질 정도로 닿게 해야 합니다. 이때 손과 발은 까아바를 향하도록 합니다. 절을 하면서 남자는 팔꿈치를 자기 몸에서 떨어지게 하고 허벅지가 배에 붙지 않도록 하며 손가락과 발가락은 까아바를 향하도록 합니다.(사진-7) 반면에 여자는 이와 반대로 합니다. 몸을 낮추고 허벅지를 배에 붙이고 팔꿈치를 옆구리에 붙입니다. 발가락을 바닥에 놓으면서 까아바 방향으로 향하지 않습니다.(사진-8) 엎드려 절한 채로 알라께 찬미를 세 번 드립니다. “수브하나 랍비얄 아을라(지고하신 저의 주님께 영광이 있으소서)”

RkJQdWJsaXNoZXIy NTY0Mz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