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종교

116 5. 두 번의 절(사즈다)을 연속해서 하는 것입니다. 6. 따으딜 아르깐, 즉 예배 중에 지켜야 할 기둥들을 평화롭고 편안하게 하는 것입니다. 반절과 절을 할 때 우리 몸의 팔다리와 관절을 천천히 편안하게 움직여야 하고 반절이 끝난 뒤에 일어설 때, 각 라까에서 두 번의 절을 하고 나서 앉을 때, 그리고 그 뒤에 일어날 때에 침착하고 편안하게 해야 합니다. 7. 매번 앉을 때(까으다), 앗 따히야뜨와 앗 따샤후드를 암송합니다. 8. 예배가 끝날 때 인사(알 살람)를 먼저 오른 편에 하고나서 왼 편에 순서대로 각 한 번씩 하는 것입니다. 9. 정오 예배(솰라 알 주흐르)와 오후 예배(솰라 알 아스르) 의 의무(파르드) 부분에서는 수라 알 파띠하와 다른 장(수라) 을 소리내지 않고 조용히 암송합니다. 10. 새벽 예배(솰라 알 파즈르)의 두 번의 의무(파르드) 라까와 일몰 예배(솰라 알 마그립)와 밤 예배(솰라 알 이샤) 의 처음 두 번의 의무(파르드) 라까에서는 이맘이 소리 내어 암송합니다. 또한 금요 예배(솰라 알 줌아), 두 번의 축제 예배 (솰라 알 이드), 라마단 달의 따라위 예배와 바로 이어지는 위뜨르 예배에서도 소리 내어 암송합니다. 11. 두 번째와 네 번째 라까가 끝나고 나서 세 번째 라까와 네 번째 라까에서 앉습니다. 12. 다른 장이나 아야를 암송하기 전에 먼저 수라 알 파띠하를 암송합니다. 13. 예배 중에 필요한 행동(와집)을 실수로 놓치거나 늦게 한 경우 망각에 대한 절(사즈다 알 사흐우)를 합니다. 14. 위뜨르 예배에서 꾸누뜨 기도를 암송합니다. 15. 엎드려 절을 할 때 이마와 코를 바닥에 댑니다.

RkJQdWJsaXNoZXIy NTY0MzU=